-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 글의 목적은 스토킹 상황에서 즉시 실행할 수 있는 대응 순서, 법적 보호를 위한 증거수집·기록 보관 체계, 그리고 접근금지 등 보호명령·신변보호 신청 절차를 현장 중심으로 정리하여 피해자가 스스로 위험을 낮추고 법적 조치를 신속히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1. 스토킹 상황 인지 시 즉시 대응 순서
위험은 시간 축을 따라 누적되기 때문에 초기 대응의 표준화를 통해 재발·격화를 억제해야 한다. 다음의 5단계는 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기본 시퀀스이다.
- 안전 확보: 대면·추적 상황에서는 시야 확보가 좋은 다중 이용 공간으로 이동하고, 엘리베이터·계단실·주차장 등 폐쇄·사각지대를 회피한다.
 - 증거 보존: 스마트폰 카메라·통화 녹음·스크린샷을 즉시 실행하고, 현장 CCTV 위치를 메모한다.
 - 신고: 긴급 위험은 112 신고를 우선한다. 위치·상황·가해자 인상착의·현재 위험도를 간단 명료하게 전달한다.
 - 제3자 통지: 근무처 보안·관리사무소·가족·신뢰 인물에 동일 정보를 동시 공유한다.
 - 사후 기록: 사건 직후 10분 내에 ‘사건일지’에 시간순으로 기재하고 관련 파일을 증거 폴더에 저장한다.
 
2. 증거수집의 원칙: 신뢰성·연속성·변조방지
법적 보호조치와 형사절차에서 핵심은 ‘증거의 신뢰성과 연속성(chain of custody)’을 확보하는 것이다. 다음 3원칙을 모든 수집행위의 기준으로 둔다.
- 원본성: 원본을 보존하고 조사·편집은 사본으로 수행한다.
 - 무결성: 해시값(SHA-256 등)을 생성해 파일 무결성을 입증한다.
 - 연속성: 누가·언제·어디서·무엇을·어떻게 수집·보관했는지 로그를 남긴다.
 
3. 증거수집 항목과 실무 절차
증거는 유형별로 수집 도구와 보관 형식을 표준화하면 누락과 변형을 막을 수 있다.
| 증거 유형 | 수집 방법 | 보관 형식 | 우선순위 | 비고 | 
|---|---|---|---|---|
| 문자·메신저 | 원문 스크린샷+대화내보내기 파일 추출 | PNG/JPG + 원본 TXT/HTML | 상 | 발신자·시간·프로필 식별 포함 | 
| 통화내역·음성 | 통화 녹음, 통신사 이용내역 발급 요청 | MP3/WAV + PDF | 상 | 녹음 시작 전 날짜·장소 구두 고지 | 
| 이메일 | 원본(.eml) 저장, 헤더 포함 인쇄본 | EML + PDF | 중 | 수신·발신·IP·시간대 확인 | 
| CCTV·대시캠 | 관리사무소·점포 협조 요청, 즉시 백업 | 원본 영상 + 보관확인서 | 상 | 보관기간 만료 전 확보 | 
| 위치기록 | 휴대폰 위치기록·지도 타임라인 내보내기 | KML/JSON + 스냅샷 | 중 | 동선 일치 여부 입증 | 
| 현장사진·영상 | 연속 촬영, 시간표시 기능 활성화 | JPG/MP4 + 원본 메타데이터 | 상 | 근접·전신·배경 식별컷 분리 | 
| 현관·우편함 물증 | 손괴·메모·물품 투입 등 사진·영상 | JPG/MP4 | 중 | 관리사무소 확인서 첨부 | 
| 증인진술 | 목격자 연락처·진술서 양식 수합 | 자필 PDF + 연락망 | 중 | 시간·거리·시야장애 기재 | 
4. 디지털 포렌식형 보관 체계 표준안
가정·직장 환경에서도 준전문가 수준의 증거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다음의 폴더·파일명 규칙과 해시 관리가 핵심이다.
루트폴더: /Stalking_Case_[YYYYMMDD]_[피해자이니셜]/ ├─ 00_Admin/ │ ├─ 001_사건개요_타임라인.xlsx │ └─ 002_연속성로그_ChainOfCustody.xlsx ├─ 10_Messages/ │ ├─ 20251012_KakaoTalk_스크린샷_원본/ │ └─ 20251012_KakaoTalk_대화내보내기_원본.zip ├─ 20_AudioCall/ │ ├─ 20251012_통화녹음_001.wav │ └─ 20251012_통신사이용내역_발급.pdf ├─ 30_Video_CCTV/ │ ├─ 20251012_엘리베이터CCTV_원본.mp4 │ └─ 20251012_관리사무소_보관확인서.pdf ├─ 40_Photo/ │ ├─ 20251012_현관앞_근접_001.jpg │ └─ 20251012_주차장_배경식별_002.jpg ├─ 50_Location/ │ └─ 20251012_모바일_타임라인.kml ├─ 90_EvidencePack/ │ ├─ 해시목록_SHA256.txt │ └─ 제출패키지_압축.zip  파일명 표준: [YYYYMMDD]_[유형]_[설명]_[연번].[확장자] 형태로 통일한다. 해시 생성·기록 예시는 아래와 같다.
# Windows PowerShell Get-FileHash ".\20251012_통화녹음_001.wav" -Algorithm SHA256 | Format-List
macOS / Linux
shasum -a 256 20251012_통화녹음_001.wav >> 해시목록_SHA256.txt
5. 사건일지(타임라인) 작성 규칙
타임라인은 법원·수사기관이 사안의 지속성·고의성을 판단하는 핵심 자료이다. 다음 항목을 컬럼으로 고정한다.
| 일시 | 장소 | 행위 내용 | 증거 파일명 | 위험도(상/중/하) | 신고·조치 | 
|---|---|---|---|---|---|
| 2025-10-12 19:40 | 아파트 1층 현관 | 피의자 현관 대기·뒤따라 진입 시도 | 20251012_현관앞_근접_001.jpg | 상 | 112 신고, 순찰 출동 | 
서술은 1문장 1사실 원칙을 지키고, 추정·감정·형용사를 배제한다. 의료 기록·상해 사진이 있다면 동일 날짜로 병원 진료기록 사본을 확보한다.
6. 접근금지·통신금지 등 보호명령 신청 절차 개요
반복적 스토킹에는 접근금지·주거·직장 등 특정장소 출입금지·통신금지와 같은 보호조치를 신속히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일반적 절차 흐름은 다음과 같다.
- 사전 준비: 사건일지, 증거 패키지, 관계·접촉 경위서, 필요 시 목격자 진술서를 정리한다.
 - 관할 확인: 피해자의 주거지·근무지 또는 행위 발생지를 기준으로 관할 법원을 확인한다.
 - 신청서 작성: 금지 범위(거리·장소·통신수단), 기간, 위반 시 제재 요청을 구체적으로 기재한다.
 - 첨부자료 제출: 증거 목록표, 파일 해시목록, 타임라인 표, 진술서 사본을 일괄 첨부한다.
 - 긴급성 소명: 최근 사건 3건 이상을 구체적 일시·장소·행위로 제시하고 재발 가능성을 객관 자료로 뒷받침한다.
 - 결정·통지: 결정문을 수령한 후 관리사무소·경비·직장 보안·가족에게 공유하여 현장 이행력을 높인다.
 
7. 경찰 신변보호·긴급조치 연계
접근금지와 더불어 경찰의 신변보호 제도를 병행하면 현장 대응력이 상승한다. 순찰 강화, 야간 귀가 동행, 비상연락 체계 등록, 주거지 주변 순찰 지점 지정, 스마트워치·긴급호출 앱 설정 등을 포함한다. 주거지 CCTV 사각지대가 있으면 임시 조명·경보벨 설치를 고려한다.
8. 직장·공동주거 보안 강화 체크리스트
스토킹은 동선 반복과 노출지점 고정을 노린다. 공동현관·주차장·엘리베이터·우편함·택배 보관실 등 취약 구역을 우선 보완한다.
| 구역 | 취약요인 | 개선조치 | 점검 주기 | 
|---|---|---|---|
| 공동현관 | 무단 동행, 비밀번호 노출 | 번호 주기적 변경, 원웨이 미러·지연폐문 | 월 1회 | 
| 엘리베이터 | 밀폐·사각지대 | CCTV 표시, 비상버튼 점검 | 주 1회 | 
| 주차장 | 저조도, 동선 노출 | 조도 100lx 이상, 동선 분산 표시 | 분기 1회 | 
| 우편함·택배 | 개인정보 노출 | 성명 가림, 택배함 암호화 | 상시 | 
9. 신고·진술 표준 문구 템플릿
긴박 상황에서 핵심 정보를 빠짐없이 전달하려면 미리 템플릿을 준비해 두는 것이 유리하다.
[112 신고 핵심 문구] "지금 [장소]에서 저를 따라오고 있는 사람이 있습니다. [가해자 특징: 성별/의복/거리]. 저는 [정확한 위치]에 있으며, 즉시 순찰 요청합니다. 이전에도 [날짜 2~3건 요약] 발생했습니다." [피해사실 진술서 개요] 1) 최초 발생일·장소·행위 2) 최근 3회 발생 일시·장소·행위·증거파일명 3) 가해자와의 관계·접촉 경위 4) 현 위험도 평가(귀가 동선, 거주지 노출 여부) 5) 요구 보호조치(접근금지 반경, 통신금지 범위, 기간) 10. 디지털 안전 설정 권고안
- 휴대폰: 잠금강화, 생체+PIN 이중, 예측 문자 자동완성에서 주소·이름·직장 자동저장 해제, 위치 공유 기본 OFF, 블루투스 가시성 숨김으로 설정한다.
 - 메신저: 프로필 공개 범위 최소화, QR/ID 공유 차단, 링크 미리보기 저장 차단으로 메타데이터 노출을 줄인다.
 - 이메일: 메일 규칙으로 특정 키워드 자동분류·백업, 2단계 인증 활성화, 로그인 알림을 의무화한다.
 - 소셜: 실시간 위치·정기 루틴 게시 금지, 과거 게시물 일괄 공개범위 축소, 댓글·DM 제한을 활용한다.
 
11. 위반 대응: 보호명령 위반·접근 재시도 시
보호명령 결정 후 위반 정황이 발생하면 즉시 112에 신고하고, ‘결정문 사본’과 위반 증거(시간·장소·행위)를 제시한다. 재발과 격화는 실형·추가 제재의 사유가 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증거수집·기록 절차를 반복 적용한다.
12. 의료·심리 지원과 2차 피해 방지
신체·정신적 피해가 의심되면 진료 기록을 확보한다. 근무처·학교에는 최소 범위에서 상황을 통보하고 접근금지 이행을 위한 출입관리 협조를 받는다. 온라인에서 피해 사실을 과도하게 노출하는 행위는 불필요한 2차 접촉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신중히 통제한다.
13. 케이스 패키징: 제출용 압축·목록화
수사기관·법원 제출 시에는 목록표·해시목록·타임라인을 맨 앞에 배치하고, 증거는 유형별·시간순으로 정리한다. 대용량 파일은 클라우드 링크 대신 오프라인 저장매체(USB)로 제출하며 봉인·서명한다.
[제출 목록표 예시] 1) 사건일지_타임라인_v1.2.xlsx 2) 증거목록_v1.2.pdf 3) 해시목록_SHA256.txt 4) Messages/ (스크린샷 25건, 내보내기 Zip 1건) 5) AudioCall/ (녹음 3건) 6) Video_CCTV/ (현관 1건, 엘리베이터 1건) 7) Photo/ (현장 사진 8건)  14. 자주 묻는 실무 쟁점
- 단발성인가 지속인가: 시간 간격이 들쭉날쭉해도 동일 패턴·동일 대상·동일 장소가 반복되면 지속성이 성립할 수 있다. 타임라인 표로 구조화하면 설득력이 높다.
 - 우발적 조우 주장 반박: 위치기록·CCTV 동선을 중첩 지도에 표시해 반복·의도성을 시각적으로 제시한다.
 - 상대방 연락 차단의 증거화: 차단 스크린샷·통신사 수신거부 내역을 보존해 불필요한 상호교류를 끊었음을 입증한다.
 
15. 체크리스트: 오늘 바로 실행
| 항목 | 실행 방법 | 상태 | 
|---|---|---|
| 사건일지 템플릿 생성 | 스프레드시트 6컬럼 고정 | 미완/완료 | 
| 증거 폴더 구조 구축 | 섹션 00~90 생성 | 미완/완료 | 
| 해시 도구 준비 | PowerShell·shasum 점검 | 미완/완료 | 
| 112 신고 문구 단축메모 | 스마트폰 메모·단축어 등록 | 미완/완료 | 
| 주거동선 보안 점검 | 공동현관·주차장·엘리베이터 | 미완/완료 | 
FAQ
상대가 이름·연락처·주소를 알고 있을 때 우선순위는 무엇인가?
접근금지 범위를 주거·근무지 중심으로 즉시 특정하고, 통신금지를 포함해 직접 연락 경로를 차단한다. 동선 노출 지점(우편함·택배·주차 동선)을 먼저 보강한다.
대면 시도에 대응해 “그만하라” 통지 문자를 보낼까?
필요 최소 한 번의 통지만 남기고 반복 대화는 중단한다. 통지문은 “추가 접촉·접근을 금지하며 위반 시 즉시 신고 및 법적 조치”라는 핵심만 포함한다.
증거 편집은 어느 정도 허용되나?
원본은 불가침 원칙이다. 제출용 편집본은 캡션·형광표시를 허용하되, 원본과 해시값·파일명 대응표를 함께 제출한다.
협박성 전화가 밤중에 계속 온다. 무엇을 저장해야 하나?
통화녹음 파일, 발신번호·시간대 캡처, 통신사 이용내역, 신고 접수번호, 수사관 연락처를 한 세트로 보관한다. 취침 시간대 패턴이 반복됨을 표로 제시한다.
CCTV를 제때 확보하지 못했다. 대안은?
엘리베이터·주차장 외 주변 점포·도로 CCTV를 병렬 확보한다. 차량 대시캠·스마트 도어벨 등 개인 장비 기록도 동선 입증에 유효하다.